반응형 천문학25 소행성대와 지구 근접 천체 1 소행성은 태양 주변을 도는 커다란 암석이다. 대부분의 소행성은 화성의 궤도 너머에 있는 소행성대라고 부르는 지역에 잠들어 있지만 다른 수천 개의 소행성은 지구의 공전궤도에 근접하거나 교차하면서 태양을 공전한다. 많은 과학자들은 대략 6,500만 년 전에 소행성이 지구에 충돌했고, 공룡과 다른 종들을 멸종시켰다고 믿는다. 소행성은 말 그대로 작은 행성이라는 뜻인데 이들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전문가들이 행성과 비슷한 천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런 이름을 붙였다. 하지만 오늘날의 천문학자들은 소행성이 태양계의 형성 과정에서 생긴 자투리, 즉 다른 잔해들과 합쳐져서 행성이 될 수 없었던 물체라고 믿는다.이다와 같이 위성을 가지고 있는 소행성도 있다. 소행성은 지구에서도 볼 수 있는 규산염 암과 금속으로 이루어져.. 2022. 5. 21. 수성, 금성, 화성 2 두꺼운 구름이 금성을 완전히 뒤덮고 있으며 눈에 보이는 것은 구름의 꼭대기뿐이다. 금성이 눈에 띄게 밝은 이유는 상대적으로 태양과 지구에 가깝게 공전하며 대기에 빛을 반사하는 구름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성이 아주 얇은 초승달 모양일 때, 가끔 빛나는 부분이 예정보다 더 많이 보이는 경우를 볼 수 있다. 금성의 대기에서 산란한 햇빛이 명함 경계선의 어두운 쪽으로 비치면 이런 현상이 나타난다. 책에서 본 금성의 사진은 아름다운 구름의 무늬로 덮여 있는데, 이는 자외선으로 촬영한 모습이다. 자외선은 우리의 대기를 뚫지 못하며, 따라서 우리는 구름 속의 금성을 볼 수 없다. 사실, 대기가 자외선을 막아주지 않아도 자외선을 볼 수 없다. 자외선은 사람의 눈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위성에 있는 망원.. 2022. 5. 21. 수성, 금성, 화성 1 사람들은 해가 뜨기 전 동쪽에서 보이는 밝은 별을 샛별, 해가진 뒤에 보이는 밝은 별을 저녁별이라고 불렀다. 진짜 별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부르는 이름이다. 수성과 금성은 태양 주변을 빠르게 돌기 때문에 어쩌면 이번 주의 샛별과 다음 달의 저녁 별이 같은 천체일지도 모른다. 이제부터 이각, 훙, 합을 근거로 지구형 행성을 관측하기 좋은 시간을 설명하겠다. 이 세 가지 용어는 태양과 지구에 대하여 행성들의 위치를 정의할 때 사용한다. 이각, 충, 합은 태양과 지구에 대하여 행성의 위치를 나타내는 용어다. 앞으로 관측 계획을 짜면서 행성의 위치를 살펴볼 때 자주 보게 될 것이다. 이각은 행성과 태양이 지구에 대하여 이루는 각도이다. 수성의 공전궤도는 너무 작아서 태양에서 28도 이상 멀어지지 않는다. 어떨.. 2022. 5. 21. 화성 2 화성에 있는 '운하'의 발견은 화성에 생명이 존재할지도 모른다는 짐작을 처음으로 널리 퍼뜨렸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의 아주 유명한 천문학자들이 운하의 존재를 발표했다. 당시에는 다른 행성을 찍은 사진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는 거의 없었는데 지구의 대기가 상을 흐리게 만들었으며 노출을 길게 해서 촬영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전문 관측자들이 망원경으로 보고 그린 그림이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일부 그림에 나타난 화성의 지표면은 가늘고 기다란 선들이 서로 꼬이거나 가로지르고 있었다. 미국인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은 이 선들이 고대 문명이 사용했던 운하이며 화성이 말라감에 따라 물을 아끼고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 지어졌다는 이론을 주장했다. 그리고 이 선들이 교차하는 곳이 우물이라.. 2022. 5. 21. 이전 1 2 3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