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천문학25

태양 1 태양은 우리에게 익숙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태양의 존재를 당연하게 여긴다. 피부가 탈까 봐 걱정한 적은 있지만 태양이 우주의 본질을 우리에게 알려주는 주 정보원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사실 집에서 가정용 망원경을 쓰던, 천문대에서 고급 장비를 쓰던 태양은 장비에 상관없이 가장 흥미로우며 연구하는 보람이 있는 천체이다. 태양은 항성이다. 다시 말해 핵융합에서 힘을 얻는 뜨거운 기체로 된 공이다. 핵융합은 가벼운 원자핵들이 융합하여 무거운 원자핵이 되는 과정이다. 태양 내부에서 일어난 핵융합이 발산하는 에너지가 태양계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며 지구도 영향권에 포함된다. 태양은 엄청난 기세로 에너지를 만들어내는데 매 초마다 1메가톤급 핵폭탄이 92억 개 터지고 있다고 보면 된다. 이 에너지는 태양의 연료를.. 2022. 5. 26.
천왕성, 해왕성과 명왕성 3 명왕성은 훨씬 큰 행성인 해왕성의 강력한 중력으로부터 간섭받지 않으며 위의 세 가지 특징을 가지는 카이퍼 벨트 천체 역시 마찬가지인데 이들을 명왕성족이라고 부른다. 해왕성과 명왕성 밖에서 공전하고 있는 천체를 해왕성 바깥 천체라고 하는데 카이퍼 벨트 천체와 다른 성질을 가질 수도 있다. 세드나라는 천체는 2004년 3월에 발견되었으며 태양에서 90AU의 거리에 위치하는데 카이퍼 벨트가 끝나는 지점보다 훨씬 더 멀다. 세드나는 대략 995킬로미터 지름의 천체로 왜소행성으로 쳐도 손색이 없을 만큼 크다. 어떤 천문학자들은 세드나가 오르트 구름 일부라고 생각한다. 해왕성 바깥에 있는 '알려진' 행성은 모두 우리와 다른 태양을 공전하는 천체이다. 경험만 있다면, 천왕성과 해왕성은 찾을 수 있지만, 작은 명왕성은.. 2022. 5. 24.
천왕성, 해왕성과 명왕성 2 수십 년 동안 천문학자들은 명왕성을 태양계 내의 행성 중에서 태양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간주했다. 명왕성의 공전 주기는 248년이며 약 20년 동안은 해왕성의 궤도 안에서 움직이는데 1999년에 해왕성 바깥으로 나갔다. 23세기 전에 의학계에 중대한 발전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지금 살아있는 사람들은 앞으로 명왕성이 다시 해왕성 바깥으로 나가는 모습을 보지 못할 것이다. 그리고 안타깝게도, 명왕성은 강등당했다. 2006년 8월 24일에 국제 천문 연맹은 투표를 통해 명왕성의 지위를 왜소행성으로 바꾸었다. 왜소행성은 천체를 정의하는 새로운 분류로써 국제 천문 연맹은 다음과 같은 천체를 왜소행성으로 분류한다. 태양을 공전한다. 충분한 질량을 가지고 자체 중력으로 구의 형태를 유지해야 한다. 궤도 .. 2022. 5. 22.
천왕성, 해왕성과 명왕성 1 천왕성과 해왕성의 중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다. 두 행성은 크기와 화학적 구성이 비슷하다. 두 행성은 목성과 토성보다 작으며 밀도가 낮다. 각 행성은 위성과 고리가 있는 작은 계의 중심이다. 두 행성에서 오래전 거대한 천체와 충돌한 흔적이 보인다. 천왕성과 해왕성의 대기는 목성과 토성처럼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되어 있다. 둘 다 같은 목성형 행성이지만 목성과 토성보다는 작다. 천문학자들은 천왕성과 해왕성을 거대 얼음행성이라고 부르는데 이들의 대기가 암석과 물로 이루어진 핵을 둘러싸고 있기 때문이다. 천왕성과 해왕성의 물은 행성 안쪽 깊은 곳에 있어서 강한 압력을 받아 액체 상태로 존재한다. 하지만 수십억 년 전에 두 행성이 더 작은 천체였을 때는 아마 얼어붙어 있었을 것이다. 천왕성의 질량은 지구여 14.. 2022. 5. 21.
반응형